I 고대음악사
1).음악의 기원
-Music은 그리스어 무지케에서 유래되었다.
-뮤즈가 관정하는 행귀가 무지케(무지케는 음악,무용,문학을 포괄하는 개념
-의사소통의론
:의사소통을 위한 신호음이 발달하여 음악이됨 (타악기,동물뿔 소리)
-감정표현이론
:희노애락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무의식적인 소리가 음악으로 발전하였다
-노동과 춤의 리듬 이론
:힘들 일을 하거나 춤추기 위한 리듬적 반주에서 발전하였다(노동요)
2)고대의 음악
-음악은 주술적인 것(병을 고치며 마음정화 기적이 가능하다고 생각)
-악기:맘모스뼈 악기(현존하는 악기중 가장 오래된 악기)
3)피타고라스.플라톤,아리스토 텔레스
-피타고라스:수가 모든 만물의 근원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음정관계를 수적비율로 나타내었다.
-플라톤:피타고라스 이론계승 확장
'에토스이론':음악은 좋은음악과 나쁜 음악이 있는데 음악에는 보이지않는 윤리적인 힘이있어
인간의 심성을 변화 시킨다
-아리스토텔레스:모방론을 통해 음악의 영향을 설명하였다.
II.중세음악
-중세의 시작점:로마제국의 멸망(476년)또는 가톨릭 국교공인(392년)기준
1)중세음악의 특징
-많은 음악의 대부분이 교회음악
-성악음악권장:기악음악은 종교적인 의미를 담을 수 없음
-선율:좁은음역,순차진행,하나의 주요음
2)그레고리오 성가
-8세기 프랑크 왕국에서 로마교회성가와 프랑스 지역갈리아 성가의 결합으로 생성되었다
-특징:무반주 성악곡,단선율,남성제창,라틴어 구성,4성부,네우마,박자표없음,음자리표없음.음역제한적
*네우마:9세기경부터 그리스어로"기호"를 의미하는 네우마 라는 부호로 성가가 보급됨
3)중세의교회선법
-장단조가 생기기 이전에 고대,중세,르네상스때 사용한 음계 8개로 구성되어있다.(정격선법 4개 변격선법4개)
-정격선법:시작음=종지음,그 5도위 중심음(도미넌트)
-선법:도리아,히포도리아,프리지아,히포프리지아,리디아,히포리디아,믹소리디아,히포믹소리디아.
-성무일도:매일 정해진 시간에 하느님을 찬미하는 교회의 공적이고 공통적인 기도
4)중세의 세속음악
-프랑스:궁정 후원 서정시가수 (음유시인)
-트루바두르,베베른이 있으며 주된주제는 정제된 사랑 즉 이루어지지 못할 사랑을 소재로 사용
5)오르가눔
-원래의 성가선율에 새로운 성부를 첨가하는 것
+병행오르가눔
+자유오르가눔
*멜르스마적
6)파리(=노트르담 악파)양식 오르가눔
-중심인무리
*구양식:오르가눔 양식,장식오르가누처럼
*신양식:디스칸토 양식(클라우줄라)
7)모테트
-용어:프랑스어 Mot(단어)에서 유래됨
-발생과정:파리양식 오르가눔의 클라우줄라부분(=신양식 부분)대체용 작곡
-모테트의 발전
13세기 | 14세기 | 15세기 | |
클라우줄라에 가사를 붙여 작곡되어짐 종교적 세속적요소 혼합
|
사회풍자적 동형리듬기법사용
|
무반주 다성음악을 통칭 |
8)아르스 노바
-배경:교회의 권위 추락,문학의 전반에서 세속적 요소 발전
-의미:새로운 예술,
-작곡가:필립 드 비트리(새로운 리듬을 사용하는 음악)
2분법과 3분법을 동등하게 취급,다양한 리듬 사용
*기욤 드 마쇼
:14세기 유럽최고의 작곡가, 시인,아르스노바 양식 수용 -새로운 리듬 당김음. 프랑스어 사랑노래가 주임
6개의 통상문 전체를 다성음악으로 작곡한 최초의 작곡가,동형리듬 기법을 테노르 외의 다른성부에 확장시킴
세속음악시 형식의 정형화 =정형시 형식
(9) 트레첸도
-밀레 트레첸도의 줄인말
14세기 피렌체 문화예술번성 시대에 탄생
-이탈리아 작곡가들이 처음으로 서양음악사에 등장